학생부교과의 경우 내신 성적으로 줄세우기를 하기 때문에 특별히 준비할 것 보다는 여러 가지 제한 사항에 대해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1. 학교추천전형
학생부교과 전형의 경우 학교장추천전형이 꽤 많다. 재수생, N수생의 경우 모집요강을 확인해보고 졸업예정자만 되는지 졸업자도 되는 지 확인해 봐야 한다. 또한 본인이 졸업한 학교에 가서 내가 추천을 받을 수 있는지 미리 확인을 해야한다. 학교장추천의 경우는 학교에서 대부분 현역학생들을 위해 추천을 해주는 경우가 많아서 반드시 확인을 해야한다. 고등학교 담임 선생님께 미리 연락을 드려서 확인을 받는 것이 좀 더 나을 수 있다.
2. 내신의 계산 방식 확인
1) 진로선택과목 반영 여부 : 보통 진로선택과목은 반영한다면 적은 점수로 반영하기도 하고 성취도 점수를 등급으로 변환해서 하기도 하며, 아예 반영을 하지 않기도 한다. 이런 방법에 대해 미리 확인할 필요 있다.
2) 문이과계열에 따라 탐구 반영 방식 : 문이과 계열에 따라 사회탐구와 연관된 과목, 과학탐구와 연관된 과목을 반영을 분리해서 하는지 아니면 통합을 해서 반영하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문과인데 과학관련 과목이 반영된다던가 이과인데 사회관련 과목이 반영된다던가 이 부분에 따라서 약간의 성적 편차가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명확하게 구분할 필요가 있다.
3) 대학 어디가에 성적 입력 후 계산 : 대학 어디가 사이트에 가면 성적 입력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 입력을 하면 자동으로 계산을 다 해준다.
3. 본인이 원하는 학교 및 학과를 어느 정도 정해놓기
학교를 정하지 못하더라도 일단 학과만이라도 정해놓은 다음 연관된 학교의 입결을 최소 2-3개년치를 정리해놓을 필요가 있다.(최종 컷트라인이 있으면 너무 좋지만 구하기 어려운 부분이 많기 때문에 70%컷이라도 준비해놓는 것이 좋다.)
-> 그 다음 어떤 식으로 등락이 되었는지 추정치를 파악하자. 대부분 급격하게 증가, 감소 하지 않는다면 거의 비슷하게 흘러갈꺼고 급격하게 증가했다면 감소로 예측, 급격하게 감소했다면 증가로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하다. 추후 경쟁률 부분과 같이 살펴보면 어느 정도 방향성을 알 수 있다.
4. 수능 최저 부분 확인하기
본인 모의고사 성적을 토대로 내가 어느 등급까지 맡을 수 있을까에 대해 고민이 필요하다. 대부분 수능 최저는 등급 합으로 이뤄지기 때문에 확실히 어떻게 할 수 있을까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
5. 최종 지원 준비하기
다른 전형들과 서로 조합부분을 생각하면서 몇장을 지원할 것인지에 대해 고민하고 최종 전략을 짜면 된다.
현역 학생들은 3학년 1학기까진 확실히 반영되기 때문에 3학년 때도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 노력해야 하고 진로선택과목의 경우엔 A를 꼭 받을 수 있도록 학교 공부에 대해 소홀히 하지 말아야 한다. 재수생, N수생의 경우엔 지원 제한사항을 미리 확인하고 추천전형은 꼭 미리 졸업한 고등학교에서 확인하기를 바란다.
'입시에 대한 김 샘의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과선택은 어떻게 할까? (0) | 2023.03.23 |
---|---|
정시에서 어떤 대학은 빵구 났다고 하고 어떤 대학은 폭발났다고 하고 왜 그럴까? (0) | 2023.03.21 |
3월 모의고사의 의미(현역 학생버전) (0) | 2023.03.17 |
계약학과?? 취업연계형 학과?? 그게 뭐지? (0) | 2023.03.16 |
서울대 내신 반영 어떻게 대비하지?(정시) (0) | 2023.03.08 |